본문 바로가기
알.쓸.빙.잡/잡다한상식

각 나라별 중산층 기준, 한국, 미국, 영국, 프랑스

by 서리니 2017. 10. 16.

각 나라별 중산층 기준, 한국, 미국, 영국, 프랑스


갑자기 중산층의 개념이 무엇인지에 대해 궁금증이 생겼습니다.

누구나 잘 사는 나라, 그런 나라는 절대 없을 뿐더러 요즘에는 금수저, 은수저, 동수저, 흙수저, 하물며 똥수저까지 태생부터 삶의 질이 결정되어 있다는 사회구조에 대해 비판하는 시대가 되었는데요.

이런 부의 기준은 단지 우리나라에만 적용되는 것을 아닐것!. 다른 나라도 마찬가지로 중산층의 기준에 대해 연구한 자료가 있다고 하는데요,, 단지 우리처럼 경제적인 수준으로만 책정되는 것이 아니라는 부분에서 조금은 충격을 받게 되었습니다.

그렇다면 각 나라별,, 당연히 우리보다 사회적인 수준이 높은 나라겠죠,, 그 나라들의 중산층의 개념은 어떠하며 우리는 어떻게 알고 있는지에 대해 소개해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중산층, 중산층기준, 한국중산층



1. 미국 중산층의 기준

# 공립학교에서 가르치는 중산층의 기준

① 자신의 주장이 떳떳하다.

② 사회적 약자를 돕는다.

③ 부정과 불법에 저항한다.

④ 테이블 위에 정기적으로 받아보는 비평지가 놓여 있다.




2. 영국 중산층의 기준

# 옥스퍼드 대학에서 제시한 중산층의 기준

① 페어플레이를 한다.

② 자신의 주장과 신념을 갖는다.

③ 독선적으로 행동하지 않는다.

④ 약자를 두둔하고 강자에 대응한다.

⑤ 불의, 불평등, 불법에 의연히 대처한다.


중산층, 중산층기준, 한국중산층



3. 프랑스 중산층의 기준

# 퐁피두 대통령이 삶의 질에서 정한 수준

① 외국어 하나 정도는 할수 있다.

② 직접 즐기는 스포츠가 있다.

③ 다룰 줄 아는 악기가 있다.

④ 남들과는 다른 맛을 낼 수 있는 요리를 만들 수 있다.

⑤ 공분에 의연히 참여한다.

⑥ 약자를 도우며 봉사활동을 꾸준히 한다.




4. 한국 중산층의 기준

# 직장인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결과 한국중산층의 기준

① 부채 없는 아파트 30평 이상을 소유한다.

② 월 급여 500만원 이상.

③ 자동차는 2000cc급 중형차 이상을 소유한다.

④ 예금액 잔고는 1억원 이상이 되어야 한다.

⑤ 1년에 한번 이상 해외여행을 가야한다.


중산층, 중산층기준, 한국중산층



한국의 중산층 기준,, 너무 살벌하지는 않은지,, 많은 생각을 하게 되는군요,, 이걸 보는 분들은 어떤 생각이 드는지 궁금하기도 하고,,

저는 개인적으로 프랑스의 중산층 기준이 너무 의미가 좋다고 보이는데요,, 물론 국가별 상황과 민족의식이 많이 반영되어 있는 결과라고 할 수 있지만,, 너무 경제적인 의존도에만 기대는 우리나라의 실상이 씁쓸하기만 한 포스팅이 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