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분장애_ 우울증과 조증의 특정 임상양상과 진단기준
# 우울증
우울증이란 가장 흔한 정신장애 중 하나로 나타나며 인간이 살아가면서 일상의 삶에 대해 흥미를 느끼지 못하고 절망하는,,
즉. 사는 맛을 알지 못하게 되는 질환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실제로 우리나라 성인 10명중 1명은 생애 한번 이상 우울증을 경험한다고 하며, 어떤 연구에 따르면 일생동안 우울증이 걸릴 확률이 30%에 달한다고 합니다.
하지만 대다수의 환자들은 전문가의 도움을 받지 못하고 단지 10~25%만이 전문의의 치료를 받는다고 하는데요, 전형적인 우울증은 우울감, 흥미상실이나 체중감소, 수면장애, 최책감, 정신운동의 지연이나 초조 및 사고 등의 증상을 보이지만 때에 따라서는 요통이나 만성적 피로감을 나타내고 극단적인 환자들은 피해망상이나 환청을 나타내는 등의 그 임상양상은 매우 다양하게 나타나고 있습니다.
@ 우울증 진단기준은 다음과 같습니다
우울한 기분, 흥미와 즐거움을 잃음, 피로감의 증가 등이 일반적으로 우울증의 전형적인 증상으로 간주되고 있다.
확실한 진단을 내리기 위해서는 이 세가지 중에서 최소한 두 가지와 여기에 덧붙여 '기타증상'중최소한 두 가지가 더 있어야 한다.
증상 가운데 어떤 한 증상이 꼭 심하게 나타나야 되는 것은 아니다. 우울증 삽화는 최소한 2주간은 지속되어야 한다.
경도 우울증 삽화를 겪고 있는 환자는 보통 증상 때문에 괴로워하고 일상적 업무나 사회활동을 계속하는데 약간의 어려움을 느끼지만 그 기능이 완전히 중단되는 경우는 거의 없다.
# 조증
조증은 기본적으로 들뜬 기분과 육체적, 정신적 활동의 양과 속도의 증가를 특징으로 하는데요 조증은 그 정도에 따라 경조증, 급성조증, 정신착란성 조증으로 분류될 수 있습니다.
경조증은 경한 정도의 조증이며, 기분과 행동의 이상이 순환성 기분장애에 포함시키기에는 지속적이고 현저한 상태라 할 수 있습니다.
경도의 기분고양, 활력 및 활동의 증가, 현저한 안락감, 신체적,정신적 효율이 증가한 느낌, 사교성 증가, 다변, 성욕증가, 수면욕구 감소가 흔히 나타나게 됩니다.
다행감, 자극과민성, 자만심 등과 새로운 모험에 대한 관심 및 과소비를 보이기도 하며 조증의 기분증상으로는 처한 상황에 어울리지 않게 들뜨고 태평스러운 쾌활함에서부터 거의 조절이 안되는 흥분상태에 이르기 까지 다양하게 나타나며 특징적 증상으로는 ① 억제할 수 없는 언변, ② 수면욕구의 저하, ③ 과대성 ④ 지나친 낙관주의가 있습니다.
통상적 사회규범에 따르는 억제력이 상실되고 주의력이 유지되지 못해 정신적 산만을 보이는 경우가 자주 있으며 경조증은 가벼운 증상으로 말을 수다스럽게 하고, 모든 일에 자신감이 넘치고, 사교적이며, 주변의 일을 자진해서 맡아 처리하는 것을 좋아합니다.
하지만 행동이 매우 유치하며, 사소한 일에도 곧 실망하는 충동형입니다.
급성조증은 심신이 흥분되어 있으며, 항상 즐겁고 명랑하며, 자신의 능력이나 경제적 성공 및 출세에 대해서 과대망상에 차 있습니다.
감정의 기복이 심해서 때로는 친절하고, 야비하고, 공격적이며, 아집에 사로잡혀 다른 사람의 입장을 생각하지 못합니다.
앞뒤를 생각하지 않고 돈을 쓰며, 성생활이 매우 난잡한 것이 특징입니다.
정신착란성 조증은 매우 흥분되어 있으며 웃음을 그칠 줄 모르는데 발작하면 옷을 찟고, 가구를 부수는 등의 파괴행위를 서슴없이 자행할 수 있습니다.
@ 경조증의 진단기준
고양된 혹은 변화된 기분과 증가된 활동에 상응하는 몇 가지의 특징들이 최소한 몇일동안 계속 나타나서 그 정도와 지속성이 순환성 기분장애에서 시술된 것보다 더 심하고 길어야 한다. 업무수행 혹은 사회활동이 완전히 와해되거나 심한 경우는 중증 진단을 받게 된다.
@ 정신병적 증상이 없는 조증의 진단기준
최소한 1주는 지속되어야 하며, 일상업무와 사회적 활동이 거의 완전하게 와해될 정도로 심해야 하며 기분변화에 수행되어 활력의 증가가 있고 증상들 가운데 상당수(특히 억제 할 수 없는 언변, 수면욕구 저하, 과대성, 지나친 낙관주의)가 나타나야 한다.
'알.쓸.빙.잡 > 건강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격장애 종류_ 반사회적, 히스테리성, 자기애성, 경계성 인격장애 (0) | 2017.10.15 |
---|---|
정신분열증(조현병)의 종류와 조현병 치료 (0) | 2017.10.14 |
노화현상과 발기부전 어떤 관계가 있을까? (0) | 2017.10.12 |
치매 증상, 초기부터 중증까지 10가지 경고신호 (0) | 2017.10.06 |
알콜중독의 원인과 개인적인 이해, 알콜중독치료 (0) | 2017.10.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