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맥경화증 초기증상과 죽상경화증의 관계
동맥은 흔히 대동맥과 동맥(artery)과 세동맥(arteriole)으로 분류하게 되는데 동맥경화증(arteriosclerosis)은 소동맥과 세동맥의 중막과 내막의 비후화(hyperplasia)를 의미합니다.
반면 죽상경화증(atherosclerrosis)은 동맥내병의 결절성 과정으로 지방을 포함하고 있는 세포와 평활근 세포, 교원세포, 칼슘, 섬유소와 혈소판으로 구성된 죽종(atheroma)이 대동맥, 동맥 및 세동맥에 형성되는 것을 의미합니다.
특히 죽종이 관상동맥과 뇌동맥에 형성될 경우 뇌와 심장에의 혈액공급을 방해하여 위험할 수 있습니다.
동맥 내벽의 비후화는 지방의 축적과 함께 동맥의 구경을 더욱 협소화시켜 혈액공급을 차단하며, 혈관의 병변부에 형성된 혈전은 좁아진 동맥을 폐쇄시키는데 혈관에 형성된 죽종이 혈관 구겅의 2/3 이상을 폐쇄하지 않는 한 혈압은 저하되지 않습니다.
특히 혈관의 폐쇄가 서서히 진행되면서 측부 순환이 발달되어 혈관 폐쇄 증상이 나타나지 않기도 하는데 죽상경화증은 심근, 뇌와 하지의 국소빈혈을 일으키는 주요 원인으로 혈관 폐쇄, 혈관벽의 약화 또는 혈전 형성의 위험이 나타납니다.
죽상경화증의 이환율은 연령의 증가와 함께 높아지며, 40세 이전의 경우 여성보다 남성에게 빈번하나 폐경기 이후의 여성은 동일한 연령의 남성에 비해 보다 빨리 진행되고 고혈압이 있는 경우는 심하게 나타나게 됩니다.
죽상경화증 발생의 위험요소에는 고혈압과 비만, 흡연, 고지방식습관, 운동부족, 스트레스를 많이 받는 성취욕구가 강한 성격이 강한 사람 또는 당뇨병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알.쓸.빙.잡 > 건강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파킨슨병 증상(Parkinson`S Disease)_ 퇴행성 신경계 질환 (0) | 2017.12.07 |
---|---|
백혈병(Leukemia) 증상과 원인, 혈액 조혈기관 및 면역기전 질환의 백혈병 (0) | 2017.11.14 |
부정맥(Arrhythmia), 빈맥(tachycardia)의 임상적 특징 (0) | 2017.11.07 |
폐암 초기증상과 원인 병리현상및 폐암 진단(lung cancer) (0) | 2017.11.04 |
췌장염 증상과 원인 및 치료_(Pancreatitis)소화기계 질환 (0) | 2017.11.01 |